[방문후기] 어린이닭갈비로 유명한 춘천애니닭갈비

닭갈비하면 매콤하고 빨간색의 맛있는 색깔이 연상됩니다. 아무래도 춘천에서 유래된 춘천닭갈비는 풍부한 야채와 뼈가 없는 닭의 맛과 볶음밥을 먹는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울에서 판매되는 춘천닭갈비가 맛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실 겁니다.  하지만, 춘천에 가면 춘천닭갈비를 꼭 먹어야 한다는 것이 아마도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본적인 생각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한 생각과 함께 이곳 춘천애니닭갈비집은 아이들이 먹을 수 있는 간장베이스의 어린이닭갈비가 판매된다는 점이 큰 장점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생활정보] 경기도 7월부터 일상회복 지원금/특별재난지역 지정

경기도는 27일 '경기도 특별재난지역 지원 조례 전부개정 조례안'이 경기도 의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합니다. 경기도가 자연재난 지역 피해민에 최대 3000만원의 '일상 회복지원금'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또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받지 못한 시군에 대해 해당 지역을 특별지원구역으로 지정한 뒤 시군 복구비의 50%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항상 위험이 있는 재난과 지원금 

일상 회복지원금

이례적인 자연 재난으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된 경우 피해를 본 도민에게 실질적인 복구비을 추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정책 개요

  • 제도화 시점 : 2025년 6월 274일, '경기도 특별재난지역 지원 조례 전부개정안' 통과 (도의회 본회의)
  • 시행 시기 : 지방 공포 절차 후 7월 중 본격 시행 예정

지원 대상 및 금액

1. 자연재난 (홍수, 태풍, 지진 등)

  • 특별재난지역 선포 시 피해 주민 및 사업자에게 복구비 추가 지원
  • 소상공인 : 피해 규모에 따라 300만원 ~ 700만원
  • 농/축산업 : 철거/복구비의 20% 추가 지원
  • 사망, 실종자 유가족 : 3,000만원 위로금 지급

2. 사회재난 (대형 화재, 폭발 등)

  • 국고 기준 이상 피해, 하지만 특별재난지역 미지정된 시,군 대상
  • 도가 '특별지원구역'으로 지정 : 해당 복구비의 50%를 경기도가 지원ㄴ

주요 목적

  • 신속한 피해 복구 체계 마련
  • 국고 지원만으로는 부족한 지역에 대해 도 차원의 추가 지원
  • 전국 최초로 지자체 단위에서 제도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
경기도청 전경

사회적 의미

1. 복구 중심에서 회복 중심으로

  • 과거 재난 대응은 피해 복구, 시설 복구 위주였다면 이번 제도는 피해 주민의 일상 회복 자체에 초점을 맞춤.
  • 이재민, 유가족, 소상공인, 농축산업 종사자 등 재난 피해로 삶의 터전과 소득을 잃은 사람들의 생활 재건을 직접 지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2. 국가 중심 지원의 한계 보완

  • 기존에는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돼야만 국고 지원이 가능 : 피해 규모, 지역에 따라 사각지대가 발생
  • 이번에는 '지방정부(경기도)'가 스스로 판단해 '특별지원구역'을 지정하고, 국고 지원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도 도 차원의 추가 지원을 할 수 있게 됨.
  • 중앙-지방의 역할을 나누어 재난 대응 체계를 강화한 사례.

3. 전국 최초 제도화 (모범사례)

  • 경기도는 전국 최초로 재난 피해에 대한 일상회복 지원금과 특별지역구역 제도를 조례로 제도화.
  • 다른 지방정부에 정책적 선례를 제공하고, 지역 맞춤형 재난 대응 정책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음.

4. 피해 주민 '존엄과 회복권' 인정

  • 피해 주민을 단순한 '지원 대상자'로 보지 않고, 재난 속에서도 인간다운 생활과 존엄을 유지할 권리를 인정
  • 재난 이후 삶을 단순히 버티는 것이 아니라 다시 살아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인권적 가치가 있음.

5. 공공의 책임 강화

  • 재난 피해는 개인 책임이 아닌 사회, 공동체의 문제임을 재확인
  • 지방정부가 앞장서서 피해 복구와 주민 지원에 책임을 지는 모습은 사회적 연대와 공동체 의식을 강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이들 미술활동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들

큐슈 자연동물원 아프리칸 사파리 가는 방법

운동일기를 꾸준히 작성해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